리뷰[Review]/영화

레 미제라블 리뷰 (Les Miserables, 2012)

시북(허지수) 2013. 1. 22. 21:34

 뮤지컬 영화로는 이례적인 흥행을 기록한 레 미제라블의 이야기를 써봅니다. 가급적이면, 다른 사람들이 써놓았던 리뷰는 보지 않고, 그저 제가 느낀대로 써놓는다면 그래도 괜찮은 리뷰가 되지 않을까 싶네요. 우선, 정말로 재밌게 보았다는 관점에서 출발하는게 좋겠네요. 왜냐하면 같이 보았던 관객 중에는 자도 자도 끝이 안 나서 힘들었다고 이야기 하는 분들도 정말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야말로 뮤지컬 영화기 때문에, 일반적인 영화와는 전개 방식 등에서 확실히 좀 차이가 있습니다.

 

 포스터는 해외버전이 조금 더 마음에 들기 때문에, 이 쪽으로 넣으면 좋겠네요. 인상적인 네 단어가 보이네요. FIGHT, DREAM, HOPE, LOVE. 레 미제라블 같이 장엄한 이야기를 한 마디로 요약하는 것은 꽤 어려운 일입니다. 그럼에도 힌트를 얻는다면, 이 네 단어로 설명할 수 있겠지요. 그리고 굳이 이 단어를 합친다면, 삶 이라고 표현하면 좋으리라 생각합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싸워야 합니다. 꿈을 꿔야 하며, 희망을 가져야 합니다. 그리고 사랑하면서 살아야 하지요. 만약 이것들이 없다면, 우리는 기계와 다를 바 없거나, 노예와 다를 바 없거나, 살아도 살아 있는 인생이 아닐 테니까요. 자, 그러면 좀 더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 봅시다.

 

 

 우선 매우 강렬한 장면이 많았습니다. 충분히 감정적으로는 자극적인 영화라 할 수 있지요. 눈물을 참기 힘든 부분이 몇 번이나 있어서, 계속 눈물을 훔치면서 봐야 했습니다. 인상적인 장면 위주로, 하나 하나 의미가 담긴 부분들을 생각해 봤으면 좋겠네요.

 

 ※이제부터의 내용은 영화 본편에 대한 누설이 담겨 있으므로 아직 영화를 보시지 않은 분은 주의하세요!

 전체적인 느낌은 "상처받은 삶"이었다고 생각합니다. 등장인물들은 어딘지 모르게, 영웅적이지 못하게 그려집니다. 범죄를 저질렀고, 가면을 쓰고 살아야 하는 장발장은 물론이고, 원하지 않게 아픔을 겪고 추락하는 판틴의 모습을 보고 있자면 참으로 괴롭습니다. 어째서 인생은 누군가에게는 그토록 가혹한 것인지, 이것을 생각할 때마다 참을 수 없는 슬픔이 쓰나미처럼 몰려옵니다. 심리학에서는 사람의 성장을, 현실을 받아들이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고 표현하곤 하는데, 사회가 부패할 수록 현실을 받아들이는 것이 얼마나 괴로운 일인지 절실하게 와닿게 됩니다. 꿈이 이루어질 수 없는 세상, 선택지가 사라져가는 세상, 그 곳에서 절망하고 있는 인생에게 구원은 대체 어디에 있는지요?

 

 그래서 Miserables. 즉, 비참한 이겠지요. 빅토르 위고는 이렇게 비참한 사람들에게 초점을 맞추고, 그들의 삶에 희망은 어디 있는가? 라고 우리에게 지금까지도 질문하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프랑스의 위대한 작가들인 샤토브리앙, 빅토르위고 등이 정치적 활동을 오랜기간 했다는 것도 함께 생각해 볼만 합니다. 왜냐하면 사회의 문제들은 "비참한 사람들을 위해서 저절로" 해결되는 법은 없기 때문이겠지요.

 

 다시, 이야기로 돌아가서 초반에 나오는 장발장이 자신의 신분증명서를 찢어버리는 장면은 압권입니다.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의미에서 FIGHT 입니다. 다른 것에 의해서 규정되는 인생을 살지 않겠다는 것입니다. 말하자면, 자발성이지요. 내가 누구인지, 나 스스로 결정하겠다는 태도야 말로, 저는 인간성의 본질 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이 인생은 내가 선택했어" 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이야말로, 진짜 멋진 삶을 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자신의 인생을 살아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니까요.

 

 두 번째로 뇌리에 깊이 남는 것은 장발장의 결단입니다. 드디어 사회적인 성공을 거두고, 이 자리에 안주하면서, 많은 사람들과 함께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기회가 왔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하려고 하니, 누군가가 자신을 대신해서 누명을 쓰고 죄를 덮어써야 합니다. 모른 척하고 살아간다면 안락함이 눈앞에 있는데도... 끝내 그는 자리를 박차고 일어납니다. 이것은 "정의"에 대해서 생각하게 됩니다. 누군가를 짓밟아가면서 얻어낸 행복은 그것 자체가 가짜라는 것입니다. 이것은 이렇게도 해석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억울한 사람들의 목소리를 외면하면서 평화로운 세상을 만들었다면, 이것은 누구를 위한 평화이며, 무엇을 위한 평화입니까?

 

 후반으로 가면, 잘생겨서 마음을 빼앗기게 만드는 (!) 마리우스가 나오지요. 혁명을 외치면서도, 사랑에 눈이 멀어버린 청년. 이 이야기의 위대성은 이것에 있겠지요. 시종일관 낙관적으로 사람들을 그려냅니다. 당장 먹고 살 것이 없는데도, 그래서 도둑질을 하면서 먹고 사는 아이들 조차도, 그들을 향해서는 따뜻하거나 유쾌한 시선을 보냅니다. 혁명의 실패 앞에서도, 그 도전을 어둡지 않고 담담하게 그려내는 시선을 보냅니다. 마리우스가 사랑에 눈이 멀어서, 고뇌하는 내면의 갈등을 매우 인간적으로 표현합니다. 그야말로, 사람에 대한 희망을 놓지 않는 것이겠지요. 사람이란 이토록 복잡하고, 다면적이다는 것.

 

 그런 의미에서 자베르 경감에 대한 시선을 빼놓을 수 없겠지요. 지나치리 만큼, 집요하게 장발장을 추격하는, 집행자의 느낌이 나는 신념의 남자 자베르! 그를 과연 악역으로만 쉽게 치부할 수 있을까요. 원칙에 사로 잡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는 어떤 의미에서 정의로운 이상사회를 가장 꿈꾸었던 사람일 것입니다. 사람들이 도둑질을 하지 않고, 정직하게 살아가기를 바랐던 인물이지요. 그에게는 법보다 인간을 앞에 두는 장발장이야말로 가장 납득할 수 없었고, 내 인생에서 반드시 사라져야만 할 "결코 잊을 수 없는 절대적인 악"이었을 겁니다.

 

 죽음의 문턱 앞에서 자베르는 "자신을 용서하고 있는 거인 장발장"을 보게 됩니다. 이제 장발장이 갑이 되었음에도, 장발장은 을의 역할을 자처하는 모습을 봅니다. 자베르를 없애버리고, 행복한 삶을 선택할 수 있었던 장발장이지만, 그의 선택은 "역설적이게도 불편한 정직"이었습니다. 여기서부터 질문은 시작되고, 가치관은 붕괴됩니다. 그렇다면 자베르가 추구하고 있던 것은 도대체 무엇이란 말인가요. 가난한 사람들을 잡아들이고, 죽이고, 처벌한다고 해도, 이상사회는 오지 않는다는 것을 그는 세월을 보내며 알게 되었을 터. 게다가 장발장이 추구하던 세계관이 그토록 아름다웠던 것이니... 자베르는 거기서부터 생의 의미를 잃어버리게 되었겠지요.

 

 그래서 자베르 역시 충분히 불쌍한 사람이라고 시선을 보낼 수도 있다고 봅니다. 만약 빵을 훔치지 않고 살 수 있는 사회 였다면, 도둑질을 하지 않고도 충분히 살 수 있는 사회 였다면, 자베르의 모습은 과연 어땠을까요? 그래서 이 영화는 한 가지 거대한 질문을 우리에게 던지는 셈입니다. "사회가 한없이 불평등해지면, 빈자의 비참한 인생은 어둠 속에서 구원의 길을 찾을 수 없고, 부자 역시도 정의로운 일을 한다고 노력해도 결코 정의롭지 못한 행동이 될 수 있다." 라는 것입니다. 함께 살아가는 노력을 하지 않는다면, 모두 함께 불행해지면서, 공멸하는 것을 이야기 하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끝으로, 그렇게 다른 사람을 위해서 (코제트의 행복도 포함해서요) 삶을 바쳤던 장발장의 두 번째 인생은 의미가 있었나 하는 점입니다. 바보스러울 정도로 다른 사람의 인생을 서포트 하는 그의 역할이란 과연 무엇이었을까요. 여기에 대해서는 아직 함부로 말을 하지 못하겠습니다. 그는 도망자였고, 죽는 날까지 괴로워 했습니다. 혹자는 레 미제라블을 생각할 때면, 인생이란 역시 살아가는 것만으로도 이득이라는 교훈을 얻었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혹자는 행복한 인생이란 어떤 것일까 고민하게 되었다 라고도 말합니다. 여기에서 제가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은 어쩌면 단순한 것일지도 모르겠네요. "상처받은 삶이라도 괜찮다는 것", "할 수 있는 일을 하면서 살아간다는 것" 그리고 어쩌면 인생이란 "단지 이것만으로도 충분하다는 것" 일지도 모르겠네요.

 

 오늘의 장문 리뷰는 그럼 이쯤에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 2013. 01. 리뷰어 시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