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유학을 살펴본다고 하면, 어쩐지 조금 어색한 느낌이 있을 수 있습니다. 조선의 유학이라면 딱 하고 성리학이 떠오를테지만, 고려의 유학이란 대체 뭔가요? 조선시대 철학적인 성리학이 주류를 이루었다면, 고려 초기에는 훈고학의 시대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경전의 자구 해석을 중요하게 생각했다는 뜻이지요. 유학과 가장 관련이 깊은 왕을 꼽으라면 고려 초기 성종을 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성종하면 떠오르는 유학자가 있는데, 바로 시무 28조를 건의한 최승로 입니다. 유학자 최승로의 제안은 성종에게 받아들여졌는데, 이 지점이 시험 단골 코스니까 몇 번이고 잘 파악해둘 필요가 있습니다. (신라 때, 최치원이 올린 제안은 거부당했다는 것도 같이 체크) 한편 최승로 때까지만 해도, 불교를 비판적으로 보긴 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