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Review] 850

테이크 쉘터 (Take Shelter, 2011) 리뷰

요사이 저는 불확정성과 불안감이라는 두 가지를 여러 차례 생각해 보고 있습니다. 먼저 불확정성이라고 한다면, 간단히 말해 미래를 함부로 예측할 수 없음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겉으로 아무리 안정적인 사회라고 할지라도 한 방에 훅 가는 것이 세계의 냉혹한 모습이 아닐까 라는 생각입니다. 고도로 과학이 발전했음에도, 아직도 인류는 지진을 예측할 수 없으며, 아무리 철저하게 대비를 했음에도 막을 수 없는 일이 있다는 것이 꽤나 비극적으로 느껴지기도 합니다. 한편 불안감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행동을 선택함으로서, 이겨나갈 수 있음을 생각해 보곤 합니다. 다가오지 않은 미래에 대한 걱정, 지나간 일에 대한 쓸데없는 자책에서 벗어나려면, 현재를 행동하면서 살아가면 된다는 단순한 결론입니다. 서론을 장황하게 늘어놓은..

사랑하기에 결코 늦지 않았다 리뷰

독서를 하는 도중에, 쾅 하고 부딪혀서, 생각에 잠기게 되는 문장을 발견하면 매우 기쁩니다. 사실 하지현 선생님의 이 책은 전작인 "심야 치유 식당"의 후속편 쯤 되는 포지션이라서, (전편을 재밌게 본 입장에서) 보긴 봐야 하는데, 주제가 사랑이기에 선뜻 손이 가지 않았습니다. 나름대로 고독을 잘 견디는 편이고, 혼자서도 잘 놀기 때문에, 쓸데없는 자신감이 있었나 봅니다. 그리고, 한 바퀴 즐겁게 이 책을 완주하고 난 느낌은, "이건 사랑에 대한 책이 아니었어!" 입니다. 오히려, 인생을 당당히 살기 위한, 정신과 의사샘의 응원가로 느껴졌습니다. 역시나 고마운 책입니다. 하하. 그건 그렇고, 참 멋진 문장 하나 소개하고 시작할까 합니다. "들은 것은 곧 잊어버린다. 본 것은 기억된다. 해본 것은 내 것이..

리뷰[Review]/책 2013.10.29

아크라 문서 리뷰

꽃에게 존재에 관하여 물어본다면, 무어라 답할까요? 매번 똑같은 꽃을 피워낼 뿐인데, 과연 쓸모 있는 존재라 할 수 있는 걸까요? 작가 파울로 코엘료는 영민하고 간단하게 답합니다. "난 아름다워요. 아름다움은 내가 살아가는 이유랍니다." 신작 소설 아크라 문서는, 존재의 이유를 찾아서 방황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선물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작가의 따뜻한 위로를 느낄 수 있기 때문입니다. (55p) "쓸모 있는 존재가 되려고 애쓰지 않아도 좋다. 그저 충실히 살려고 노력하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그것만으로도 상황은 긍정적으로 변화할 것이다." 그렇다면 가장 곤란한 태도는 무엇인가요? 삶을 충실히 살려고 노력하지 않는 태도이며, 헛된 절망에 사로잡혀서 아무것도 시도하지 않는 태도입니다. 그에게는 매일 덧없..

리뷰[Review]/책 2013.10.28

립잇업 (Rip it up) 리뷰

오랜만에 흥미로운 게임이야기 연구로 서론을 열어볼까 합니다. 바로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WOW) 이야기 인데요. 별 건 아니고, 단순히 말해, 게임 캐릭터가 키가 크면, 훨씬 더 진행단계가 높다는 결과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키카 큰 사람들이 자신감이 높은 경향이 있는데, 가상 세계에서까지 이 공식이 통용되고 있었다는 겁니다. 다른 사례는 멀리갈 필요가 없겠지요. 가까운 예로는, 정장을 입고 외출했을 때와, 늘어난 간편복을 입고 외출했을 때, 우리의 마음가짐이 달라질 수 있음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극단적으로 말하자면, 마음을 바꾸고 싶다면, 당장 키높이 깔창부터 사야하는건지도 모릅니다. 하하. 책의 기본 바탕은 윌리엄 제임스의 이 말을 풀어서 안내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어떤 성격을 원한다면,..

리뷰[Review]/책 2013.10.26

컨빅션 (Conviction, 2010) 리뷰

가끔, 사람은 너무 간사해서 "자기중심적으로 세계를 이해하는 게 아닐까" 생각될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더러움에 손을 묻히고 있으면서도, 전혀 자신의 삶이 물들어가고 있는 줄 모릅니다. 가장 큰 비극은 스스로 가능성을 제약해 버리는 것이지요. "이거봐요, 현실이니까요. 내 인생은 어쩔 수 없다고요. 노력해봐도 다 끝난 거라고 하잖아요." 그런데, 당차게도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이 있습니다. 영화 컨빅션의 주인공 배티양 입니다. 그는 세상과 다르게 생각하며, 홀로 세계와 맞섭니다. 크게 기대하지 않고, 영화를 보았던 저는 뒷부분부터 자꾸 눈물이 흘러서 많은 생각을 하게 해주었습니다. 누군가 부당하게 삶의 행복을 짓밟았을 때, 얼마까지 싸워나갈 수 있을까? 한없이 거대해 보이는 세계의 벽, 일상의 벽을 ..

강신주의 다상담 2 리뷰 (일, 정치, 쫄지 마 편)

이른바 "뒤집어 생각하기"는 제가 즐겨 활용하는 사고방법 입니다. 예컨대, "내가 하고 싶은 것이 뭘까?" 라는 막연한 질문이 있다고 칩시다. 때로는, 도저히 답이 안 보인단 말이지요. 그럴 때는, 질문을 뒤집어 보는 겁니다. "그럼, 내가 하기 싫은 것은 뭘까?" 거기에는 답할 수 있었습니다. 제 경우, 매일 똑같은 일상을 반복하는 삶은 제발 피하고 싶었습니다. 정신 없이 돈만 좇아서 살아가는 태도도 제발 피하고 싶었습니다. 저는 여기에서 힌트를 얻었습니다. 그렇다면, 어제와 다른 일상을 위해서 "오늘 무엇인가를 해야겠네! 만화책이라도 집어들어야겠네!" 하하, 뭐, 그런 식의 결론을 얻곤 했지요. 또는, 돈 드는 취미 보다는, 적은 돈으로 맘껏 누릴 수 있는 취미를 즐겨봐야겠네! 조조영화 5천원이면 되..

리뷰[Review]/책 2013.10.24

영화 헬프 (The Help, 2011) 리뷰

1960년대 미국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감동적인 영화 헬프에 대하여 이야기를 남겨볼까 합니다. 저는 이 영화가 질문처럼 들렸습니다. "스키터 양처럼 세상과 맞서며 살아갈 수 있을까?", "매일 매일, 안 된다는 현실 앞에서 됐거든요! 나는 해볼꺼에요! 라고 결단할 수 있을까?" 영화 헬프의 빛나는 인물들은, 저마다 용기를 내어서 살아가는 것을 선택했습니다. 그 비결에 대해서 저는 언제나 강한 의문이 듭니다. 왜 그들은 일반적인 사고방식과 다른 관점을 가지고, 무모해 보이는 도전을 할 수 있었을까? 특별한 이들을 연구한 칙센트미하이의 표현을 가져와본다면, "또래들에게 기이하게 비치는 관심사에 강렬하게 호기심을 보이거나 집중한 까닭에 어린 시절 주변부에 머물렀던 사람들이, 오히려 매우 창의적인 사람들이 되..

강신주의 다상담 1 리뷰 (사랑, 몸, 고독 편)

오래 전, 저는 맞지 않는 캐릭터를 입어보려고 노력했던 적이 있습니다. 직설적으로 곧바로 말하거나, 날카로운 지적질을 쏘아붙이거나, 그렇게 악역을 한 번 해보려고 했습니다. 결과는 생각보다 더 처참하게 실패로 끝나고 말았습니다. 저는 한 가지 교훈을 얻었습니다. 사람은 자기에게 잘 어울리는 캐릭터(개성)를 입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훨씬 박력있고 대범한 모습이기를 동경했지만, 어느새 조금은 철이 들었는지(?), 섬세하고 소박한 스스로의 모습을 좀 더 좋아하려고 노력합니다. 그런데 고통을 각오하고, 악역을 자처하는 과감한 철학자가 있습니다. 강신주 선생님입니다. 무려 철학 박사이며(!), 거침없는 발언을 해대며, 사람들을 울리고, 현실을 직시하게 해주는 힘. 그 고통과 박살나는 현장 속으로 들어가봤습니다. ..

리뷰[Review]/책 2013.10.21

히스토리아 노바 리뷰

이번 리뷰는 서론을 생략하고 재밌는 대목 몇 개만 집중 소개해 볼까 합니다. 형식 파괴 리뷰! 55페이지의 주제는 마음을 사로잡습니다. "컴퓨터 게임에 중독되어 지구를 찾아오지 않는 외계인" 그리고 이 농담같은 일은 21세기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예컨대 게임강국 일본에서는 집에서 나오지 않는 히키코모리가 무려 100만명에 이른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친척이 있어서 한 번씩 가게 되는 제법 넓은 도시, 울산광역시 인구가 약 110만~120만명 인데, 그 정도로 많은 사람이 오늘날 히키코모리로 살고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수치는 줄어들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고도로 과학기술이 발전한 이후 사람들은 "간접적인 신호"에 큰 관심을 기울이며, 위장과 착각의 기술을 발전시키기 때문입니..

리뷰[Review]/책 2013.10.20

그래비티 (Gravity, 2013) 리뷰

고대 현인들의 지혜는 매우 인상적이고, 간단합니다. 너 자신부터 알아야 한다든지 (소크라테스), 무슨 일이 발생 하면 자신부터 돌아보라는 (공자) 식입니다. 시간이 흘러가며, 한 살을 먹어가고, 또 한 살을 먹어가고... 그러면서 깨닫게 되는 진실이 있습니다. "현실을 직시하는 것은 괴롭고 힘든 일"이라는 통찰을 배우게 됩니다. 현실을 마주보지 않기 위해서, 오늘날 많은 친구들이 가상현실의 세계를 가까이 합니다. 내가 보고 싶은 것만 보면 되지! 그래서, 괴로운 환경은 잠시 제쳐두고, 오늘을 즐기면 되지 라고 생각하곤 합니다. 저 역시 그런 유혹이 종종 듭니다. 그럴 때, 영화 그래비티를 아주 몰두해서 보고 나면, 어쩌면 우리의 삶이 기준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실에 두 발을 딛고 살아간다는 것이 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