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908

브이 포 벤데타 (V for Vendetta, 2005) 리뷰

브이 포 벤데타는 마치 우리나라를 보는 것 같아요. 어느 누리꾼은 이처럼 적극적인 감상평을 남겨주기도 했습니다. 언론이 통제되어 있고, 땡전뉴스식의 입맛에 맞춰 편집된 보도가, 21세기에도 계속되는 것. 그래서 기자들이 항의하는 모습! 권력이 국민을 감시하는 태도는 정말이지 놀랍도록 현대의 한국과 닮아있어서 그렇겠지요. 결국 권력이 국민에게서 나온다는 것을 망각해서 그렇습니다. 이처럼 브이 포 벤데타 영화는 독재에 관해서도 다루고 있습니다. 비판기능을 상실한 미디어가 독재를 부추기고 있지요. 방송은 정부 입맛에 맞게 나오고 있어서, 아예 사람들이 믿지도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정부에 의해서 끔찍한 바이러스 실험이 자행되었고, 그 여파를 정치적으로 이용한 사람들이 권력을 잡았다는 것에 있습니다. 주인공 ..

세바시 3회 - 나처럼 사는 건 나밖에 없지 가수 홍순관

세바시 2011년도 강의의 내용입니다. 세상을 바꾸는 15분의 이야기들, 그 매력 속으로 빠져봅니다. ※ 3회 원본 강의 주소를 함께 첨부합니다. 아래 본문은 제 느낀 바대로 편집 및 요약되어 있습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eECn_ZsBmVc 개미는 다리가 6개 입니다. 옆의 지네는 100개나 되는 다리를 가지고 지나갑니다. 그러자 개미가 묻습니다. 어이, 지네! 넌 어떤 발부터 첫 발을 디디는가? 지네는 자동으로 가던 길을 잠시 멈칫 하고, 생각하는 시간을 가지게 됩니다. 우리는 이렇게 멈칫하고 생각해 보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산이 강을 보며 말합니다. 강아 네가 부러워, 너는 쉼없이 다닐 수 있잖아. 그러자 강이 대답합니다. 산아 나는 네가 부러워 한 자리에..

세바시 2회 - 우리아이를 미래형 인재로 키워라 : 이범

세바시 2011년도 강의의 내용입니다. 세상을 바꾸는 15분의 이야기들, 그 매력 속으로 빠져봅니다. ※ 2회 원본 강의 주소를 함께 첨부합니다. 아래 본문은 제 느낀 바대로 편집 및 요약되어 있습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Bz515rjFRFI 우리나라 학부모들은 아이가 초등학교에만 들어가면 벌써, 우리아이 어느 대학에 보낼까를 생각하곤 합니다. 그런데, 더 중요한 게 있죠. 어차피 대학가봤자, 4년만 지나면 졸업입니다. 취업을 해야하는거죠. 취업이 더 중요한 문제인데, 대개 학부모들은 여기에 대해서는 생각을 안 하곤 합니다. 특히 지금 자라나는 초, 중, 고생들이 사회에 진출하게 되는 것은 지금으로부터 10년, 혹은 20년 뒤 아니겠어요? 그러면 그 때, 회사에..

정신의학의 탄생 리뷰

평소 나름대로는 하지현 선생님의 애독자인데, 이번에는 정신의학사에 관련된 이 책 "정신의학의 탄생"을 읽게 되었습니다. 꽤 두꺼운 분량에, 진지한 내용들이 많다보니까, 하나씩 천천히 소화하듯 읽어내려 갔습니다. 당연히 의학사이자, 유익한 정보들이 가득한데, 여기에서는 그 일부들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처음으로는 스트레스 개념입니다. (p.31~37) 쥐를 가지고 실험을 하는데, 손재주가 없어서 쥐를 자꾸 괴롭히는 과정에서 스트레스가 "발견"된 것입니다. 이른바, 부담을 느끼면 신체는 스트레스로 반응을 한다는 뜻입니다. 쥐는 스트레스로 위궤양이 생겼고, 부신이 비대해졌고, 면역 조직까지 위축되었습니다. 외부 환경 때문으로 인해 스트레스가 심해지면, 우리 몸에 말썽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저자 : ..

리뷰[Review]/책 2016.07.02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Like Father, Like Son, 2013) 리뷰

지인 J양이 서울로 일자리를 찾아 떠나면서, 선물처럼 좋은 영화 리스트를 보내주었습니다.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라는 영화도 이런 계기로 알게 되었고, 늦은 밤 눈물을 훔치며 시청하게 되었습니다. 좋은 사람이 된다는 것이 뭘까, 좋은 아버지가 된다는 것이 뭘까, 생각하기에 참으로 좋은 작품입니다. 영화는 이렇게 손 내밉니다. 유능하고 돈 잘 버는 사람이 아니라, 때로는 자신의 실수나 잘못을 인정하고, 시간을 함께 하는 사람이야 말로 좋은 아버지라는 것입니다. 영화의 표현을 빌리자면, 브레이크를 밟을 용기가 있어야 합니다. 돌아보면, 저 개인적으로는 좋은 아버지를 두었음에 감사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남들보다 몸이 허약하다는 이유로, 한 때는 정규학교 과정에서 수년 이상 이탈해 있었고, 치료를 위해서 아버지의..

내가 너로 여자와 원수가 되게 하고(창세기3:15)/홍종일목사

내가 너로 여자와 원수가 되게 하고 (창세기3:15) 제가 산기도를 참 좋아합니다. 산기도도 그냥 산에 있는 기도원이나 기도 처소에서 하는 것이 아니라 숲이 우거진 곳에서 야생의 산에서 기도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더욱이 낮뿐만 아니라 밤을 새우는 것도 즐겨합니다. 그런데 제가 미국으로 가기 전에는 한국의 산에 뱀이 별로 없었습니다. 워낙 사람들이 산으로 많이 가기 때문에 뱀들이 다 도망을 갔는지 없었습니다. 실제로 제가 산에서 뱀을 본 것도 한번인가 밖에 없었습니다. 그런데 미국에서 귀국하고 난 다음에는 정말 많은 뱀들을 보게 되었습니다. 멧돼지니 노루니 하는 짐승들도 많아지고. 금정산이나 지리산같은 깊은 산뿐만 아니라 수영강 옆의 작은 공원에서도 임도에서도 심지어는 집뒤의 야산에서도 만나게 되었습니다...

정관누리교회 2016.07.01

여리고 성이 무너지다(여호수아6:1-20)/홍종일목사

여리고 성이 무너지다 (여호수아6:1-20) “너희는 외치지 말며 너희 음성을 들리게 하지 말며” 우리는 어릴 때 주일학교에서 여리고 성이 무너지는 장면을 묘사하는 많은 표현들을 들으며 자랐습니다. 그리고는 가끔 이런 의심이 들기도 했습니다. ‘사람들이 소리를 지르는 것만으로 정말 성이 무너질까?’ 그런데 어른이 되어서는 조금 다른 방면으로 생각이 바뀝니다. 성벽이 무너진게 진짜냐 가짜냐 하는 의심이 아니라 우리 하나님은 과연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단순히 소리만 치게 하셨을까? 하는 궁금증. 하나님의 명령을 준행함으로 복을 받는다는 많은 성경기사 중에서 난공불락의 요새를 단지 성벽주위를 빙빙 돌기만 하고 마지막 날에 소리를 지름으로 무너뜨렸다면 정말 너무 허무합니다. 이건 너무 쉽쟎아요? 그 정도로 허술한..

정관누리교회 2016.07.01

세바시 1회 - 진짜 스마트하게 사는 법 : 곽동수 교수

긴 여정에 앞선 서론. 어머님이 조울병으로 아프시고, TV채널이 자주 CBS로 맞춰져 있습니다. 늦은 밤 일을 마치고 돌아오면 세바시 강연을 할 때가 있습니다. 유튜브로 찾아듣게 된 정혜윤 작가, 이소은 변호사의 강의를 듣고, 마음에 매우 감탄한 적도 있습니다. 저는 무엇인가 잘 전하는 사람이면서, 무엇인가를 잘 들어보는 사람이고 싶었습니다. 분명 어떤 이야기는 나와 별로 맞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어쩌면, 나를 불편하게 할지도 모릅니다. 반면에 어떤 이야기는 나를 움직일지도 모릅니다. 그렇게 나의 세계관에 오래도록 간직되어, 평생동안 마음에 남을지도 모릅니다. 이제 세바시 여행을 떠나보려 합니다. 1화, 2011년의 이야기들 입니다. 출발합니다. ※ 1회 원본 강의 주소를 함께 첨부합니다. 아래 본문은 ..

통일 정책과 평화 통일의 과제

한국사 마지막 문서입니다. 여기까지 오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통일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이승만 정부입니다. 이승만 정부의 통일정책은 딱 하나 입니다. 북진통일입니다. 간단하고 쉽죠? 북진통일에 위배되는 방안들은 다 빨갱이로 몰았습니다. 그래서 1950년대 후반에 진보당 사건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평화통일을 주장했던 진보당이 탄압을 받으면서 당수 조봉암이 사형당하는 사건이 있었어요. 살펴본다면 조봉암은 어떤 인물이었나요? 지난 1956년 대선에서 이승만과 대권을 경쟁했던 인물 아니었어요? 그런 인물을 사형시킨다는 것은 정치파트너에 대한 기본적 에티켓도 아니었습니다. 자신의 정적을 사형대로 날려버린다는 것은 글쎄, 아무리봐도 적절한 모습은 아닙니다. 그죠. 이승만 정부는 4.19 혁명으로 무너지..

북한의 이해 - 천리마 운동, 합영법, 개성공단 등

통일을 공부하기 전에 먼저 북한부터 이해해 보는 편이 좋겠습니다. 이번 문서는 중요성은 그다지 높지 않고, 일종의 외전 성격의 문서입니다. 알아두면 재밌는 이야기들. 통일의 파트너인 북한은 어떻게 성장해 왔을까요. 현재는 어떤 모습일까요. 그렇게 북한을 알아가려는 노력이 있을 때, 그리고 남한과 비교해 봤을 때, 서로 다른 점들을 한결 쉽게 이해할 수 있을꺼라 생각합니다. 정치와 경제로 나누어서 살펴보겠습니다. 북한의 정치를 공부할 때, 특징적으로 김일성이라는 존재가 거의 절대적 권력을 가지고 있었다고 볼 수 있는데요. 김일성의 권력이 어떻게 올라가는지를 살펴봅니다. 특히 1972년에 김일성의 권력은 폭발적으로 증가합니다. 어? 왜요? 7.4 남북공동성명이 있었고, 이 무렵 사회주의 헌법이 만들어졌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