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043

진주만 (Pearl Harbor, 2001) 리뷰

제법 오래된 전쟁영화지만, 진주만을 보게 되었습니다. 전쟁 앞에서 젊은이들의 한 번뿐인 청춘이 엇갈리는 모습이 꽤 안타깝게 그려지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우정도 비틀어지고, 사랑도 뜻대로 되지 못했습니다. 길게 이어지는 전쟁씬은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지 말해주고 있습니다. 내 앞에서는 절대로 안 된다, 못하겠다 라는 말은 하지 말게. 대통령의 지시사항은 그렇게 이행되어 나갑니다. 목숨을 걸고, 전선으로 계속해서 나아가는 젊은이들, 그것도 자발적 이라는 데, 더욱이 커다란 힘이 실려 있습니다. 이런 젊은이들이 있기 때문에, 미국 이라는 나라가 강대국으로 일어서 있는게 아닌가 그런 생각이 머리에 오래도록 남습니다. 실은 영화를 보다보면 알게 되겠지만, 일본이 진주만을 기습공격한 것이야말로, 치명적인 실수로 드..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메리카 (Once Upon A Time In America, 1984) 리뷰

긴 호흡을 두고서 보기에 좋은 작품,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메리카 입니다. 미국의 20세기 풍경과 의리로 뭉쳤던 갱단의 삶을 은은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한 남자의 일생이라고 써도 좋을 것 같습니다. 주인공 누들스가 일생의 벗을 만나서 함께 갱단을 구성합니다. 정말 예쁜 아가씨와 사랑을 꿈꿔보지만, 계획대로 되지 않습니다. 누들스는 의리를 지키고자 감옥을 다녀오게 되었고, 밀주사업을 동료들과 하면서 크게 성공을 하기도 합니다. 뜻대로 되지 않는 것이 인생, 그러나 그 속에서 웃을 수 있는 것이 인생. 인상적인 음악과 함께 긴 영화는 우리에게 이야기 해주는 것이 참 많았습니다. 1921년 어린 시절의 누들스가 맥스와 만나는 장면, 두 사람은 밀매에 관한 좋은 제안을 제안해서 벌써부터 성공을 거머쥐게 됩..

한공주 (Han Gong-ju, 2013) 리뷰

오늘도 어김없이 지인 J양의 보물지도를 펼쳐서, 걸작 영화 리스트를 살펴봅니다. 한공주를 선택했습니다. 전 잘못한게 없는데요. 포스터부터가 강렬합니다. 사전정보가 없었지만, 잘 만든 영화답게 금방 영화 속으로 빠져들어갔습니다. 극중을 일관되게 흐르고 있는 것은, 슬픔과 잔잔하게, 그리고 끈기 있게 싸워나가는 17세 소녀 한공주의 모습입니다. 이 영화는 고통을 겪고 난 후, 그 다음에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를 차분하게 말하고 있습니다. 영화를 보는 동안 저 역시 다른 분들처럼, 불편한 감정을 느꼈습니다. 우리는 한공주, 전화옥 양에게 대해서 참 모질게 대하는 사회에 살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느끼기 때문입니다. 사소한 장면이 그렇습니다. 예컨대 산부인과를 찾은 한공주 양이, 애써 여의사를 부탁했음에도, 그런 ..

세바시 10회 - 결핍이 곧 에너지다 맹명관 마케팅 스페셜리스트

세바시 2011년도 강의의 내용입니다. 세상을 바꾸는 15분의 이야기들, 그 매력 속으로 빠져봅니다. ※ 10회 원본 강의 주소를 함께 첨부합니다. 아래 본문은 제 느낀 바대로 편집 및 요약되어 있습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yJxCNfcjzsg 저는 결핍이 곧 에너지다 라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제가 여러가지 컴플렉스가 있는데요. 하나는 이름에 대한 컴플렉스였어요, 맹명관이라고 하니 사람들이 꼭 중국집 이름 같다며... (웃음) 외모도 힘들었습니다. 옥돌메 아시나요. 옥상에서 떨어진 메주라고. 그래서 친구들이 미팅을 갈 때, 물 흐린다고 저를 빼놓고 가는, 안 좋은 추억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58년 개띠인 제가, 50대가 되니까 얼굴 사진이 좋아진 것..

엣지 오브 투모로우 (Edge of Tomorrow, 2014) 리뷰

타임 루프라는 독특한 주제를 가지고 있는 SF영화 엣지 오브 투모로우를 감상했습니다. 반복되는 시간 속에서 점차 강인한 전사로 거듭나는 모습은 마치 게임 같은 인상인데, 그 와중에도 자신이 사랑하는 가치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은 감동까지 선물하고 있습니다. 점점 더 강하게 되는 비결이 무엇인가에 초점을 맞출 수 있겠지요. 똑같은 수법으로는, 미믹이라 불리는 외계 종족에 맞설 수 없었습니다. 하나라도 다른 시도를 해야하고, 다른 선택을 해서, 반복되는 시간 속에서 생존의 길을 모색해야 합니다. 오래전 보았던 일본 만화 마도카 마기카가 생각납니다. 타임 루프를 끊으려면, 얼마나 많은 시간을 헤매며, 고생해야 하는가를 알고 있습니다. 얼마전 보았던 특강이 생각납니다. 창의적 선택은 어떻게 할 수 있는가?..

세바시 9회 - 부모가 알아야할 더 중요한 것들 이호선 박사

세바시 2011년도 강의의 내용입니다. 세상을 바꾸는 15분의 이야기들, 그 매력 속으로 빠져봅니다. ※ 9회 원본 강의 주소를 함께 첨부합니다. 아래 본문은 제 느낀 바대로 편집 및 요약되어 있습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6eCT1CqNj-A 제가 경험해 본 바로는 아이 키우는 일이 가장 힘들지 않나 생각합니다. 이제 새로운 시대에 맞는 제안을 해볼까 합니다. 양육의 개념을 버릴 때가 된 것입니다. 양육이라는 것은 아기를 돌본다는 개념입니다. 평균수명이 80살이되었지요. 즉, 우리는 약 55년동안 자녀로 살아가고, 또 부모로 살아가게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어릴 때, 돌봐줘야 하는 시기는 약 7년 정도로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남은 48년은 양육의 개념이 아닌..

킹스맨: 시크릿 에이전트 (Kingsman: The Secret Service, 2014) 리뷰

누적 관객수 6백만명을 동원했던, 유명한 영화 킹스맨에 대해서 리뷰를 남겨볼까 합니다. 작년에 극장에서 이미 재밌게 봤지만, 여차저차 다시 한 번 느리게 시청하면서 역시 참 많은 생각을 안겨주는 구나 싶었습니다. 명대사 두 개는 미리 써놓고 시작하고 싶습니다. 첫째, 매너가 사람을 만든다. 둘째, 과거의 자신에 비해서 더 나은 삶을 살고 있을 때, 그 삶이 고귀한 것이다. 남과 비교해서 잘난 것은 절대로 고귀한 것이 아니다. 헤밍웨이의 말이라고 합니다. 킹스맨은 다음 세대가 이렇게 성공적으로 대를 이어간다는 것에 의미를 둘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 다음 세대는 금기의 벽을 허물 것입니다. 귀족들이 독점하던 킹스맨 에이전트 대신에, 모두에게 열려 있는 그 방식으로 나아가는 방향이 옳음을 매우 적..

세바시 8회 - 창의력은 우리 사이에서 나온다 TEDxSeoul 송인혁 오거나이저

세바시 2011년도 강의의 내용입니다. 세상을 바꾸는 15분의 이야기들, 그 매력 속으로 빠져봅니다. ※ 8회는 유튜브에 없어서, CBS가입 후 시청가능. 아래 본문은 제 느낀 바대로 편집 및 요약되어 있습니다. ▶ www.cbs.co.kr/tv/pgm/cbs15min/ 우리는 모두 열정적이다, 단 회사 밖에서! 단 학교 밖에서! 열정적으로 산다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그리고 사실을 말하자면, 저는 꿈을 실현하라, 열정적으로 살아라 라는 말을 들을 때, 나는 그렇게 열정이 있는 것 같지 않은데, 내 꿈은 뭐지 하고 당황하게 되고, 스스로에게 회의적이게 될 때가 되게 많았습니다. 그렇다면 열정이란 어디서 나오는가, 창의성이란 어디서 나오는가에 대하여, 크게 통찰을 얻은 대목이 있어서 이 점을 여러분들과 공..

영화 리미트리스 (Limitless, 2011) 리뷰

영화 리미트리스는 그 독특한 예고편 때문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한 글자도 제대로 작업을 할 수 없었던 작가가, 약을 복용함으로서 두뇌가 100% 가동되며, 생활이 역전된다는 것. 상상만 해도, 즐거운 일이며, 꿈만 같은 일이지요. 실은 글쓰는 사람들 중에 꽤 많은 이들이 글의 서두부터 힘들어 하곤 합니다. 저 역시 이 점은 마찬가지라서, 영화 리뷰가 200편이 넘어가고 있음에도 늘 서론에는 어떤 이야기를 짧막하고, 재밌게 담을지 고심하곤 하니까요. 실은 이 영화는 시간을 좀 두고서, 두 번씩이나 봤습니다. 처음 봤을 때는, 솔직히 말해서, 반칙 같다는 생각, 너무 한다는 생각이 들어서 리뷰를 어떻게 써야할 지 정리가 잘 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좀 용기가 납니다. 그냥 정리되지 않은 생각..

세바시 7회 - 한국교회를 살리는 세 가지 손봉호 고신대 석좌교수

세바시 2011년도 강의의 내용입니다. 세상을 바꾸는 15분의 이야기들, 그 매력 속으로 빠져봅니다. ※ 7회 원본 강의 주소를 함께 첨부합니다. 아래 본문은 제 느낀 바대로 편집 및 요약되어 있습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WFJEQJ9WEdU 저는 지금 한국교회가 죽기 시작했다 그렇게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완전히 죽은 것은 아니고, 다시 살 수 있는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고 봅니다. 한국 교회 장점도 많지요. 기도 열심히 하고, 전도 열심히 하고, 또 헌금도 많이 하고, 성경도 많이 읽고... 세계에 자랑할 만한 것이 한 두가지가 아닙니다. 그 덕으로 한국 교회는 세계 선교역사상 가장 빨리, 또 가장 크게 성장을 했습니다. 그 뿐만 아니라 우리 한국 사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