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제도에서 비중이 큰 것은 농민입니다. 농민은 국가의 "근본"이라고 불리니까요.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우선 인구가 가장 많고요, 무엇보다 농민은 국가에 조세, 공납, 역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실상 국가 재정을 책임지고 있습니다. 게다가 농민들은 사족(양반이나 선비)에게 지대를 내기도 합니다. 즉 지배층의 경제적 기반을 제공하는 농민들이었습니다. 생각해 볼 것은 "민본주의"라는 조선사회의 구호입니다. 이건 민주주의와는 질적으로 다릅니다. 가령 오늘날은 민주주의로 운영되는데, 헌법 1조 국가의 주권이 국민에게 있다는 능동적인 개념이지요. 그런데 성리학의 민본주의라는 것은, 백성을 수동적인 존재로 다루며, 이들을 국가가 책임지고 보살핀다는 개념에 가깝습니다. 예컨대 양반이 부모라면, 농민들은 돌봐줘야할 자..